728x90
반응형
- 개요: 미증시 공부를 위한 데일리 증시 요약
- 목적: 어떤 이벤트가 증시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동향을 파악하는 것
- 연재 기간: 굳이 요약 글을 작성하지 않아도 이해하고 대응 전략을 뽑아낼 수 있을 때까지
목차
1. 지수 요약
2. S&P500 스크린
3. 요약
4. 이모저모
5. 주요 스케줄
6. 공포 탐욕 지수
7. 참고자료
지수 요약
[미국 증시]
S&P500 +1.81% → 5,363.36
다우 +1.56% → 40,212.71
나스닥100 +1.89% → 18,690.05
러셀2000 +1.57% → 1,860.20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3.862% → 3.975%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425% → 4.497%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100.955 → 99.801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3,194.20 → 3,255.50 ▲ (전일 같은시간대비)
S&P 500 스크린
요약
- 금일 미국 증시는 상승 마감함
- 이번 반등은 장기 국채와 달러화 매도세가 진정되며 나타남
- 중국은 미국산 제품 관세를 인상함 84% → 125%
- 미국 내 생상이 아닌 설계만 미국에서 하고, 해외 파운드리로 제조하는 업체는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됨에 따라 엔비디아, 암드 상승
- ‘연준 풋’ 등장, 콜린스 총재는 “금융시장이 불안해진다면 이를 진정시키기 위해 개입할 ‘절대적인’ 준비가 되어있다.”고 발언 → 이 발언 이후 상승으로 가닥이 잡힘
- 미국 3월 PPI 상승률 2.7% (예상: 3.3% 이전: 3.2%)
- 미국 3월 근원 PPI 상승률 3.3% (예상: 3.6% 이전: 3.4%)
- VIX 지수 37.56 −3.16 (7.76%)
- 공포 탐욕 지수 13 (전날 8)
이모저모
- 생산자 물가 지수(PPI) 월간 기준 마이너스 → 장 중 장기물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함 → PPI가 낮게 나왔음에도 장기물 금리가 상승한다는 건, 물가가 낮아지고 있음을 믿지 않고 장기에는 물가가 오를 것이라고 판단했음을 시사함
- 미래 기대 인플레 상승은 현재 물가에 녹아들기 마련
- 콜린스 총재는 “금융시장이 불안해진다면 이를 진정시키기 위해 개입할 ‘절대적인’ 준비가 되어있다.”고 발언 → 이 발언 이후 상승으로 가닥이 잡힘
- 시장 일각에서 시스템 붕괴를 걱정할 정도로 우려하고 있었다는 게 확인됨 → 콜린스 총재가 말하는 ‘유동성 우려’에 대한 문제 → 콜린스가 이번 발언으로 최악의 시나리오를 차단한 것(유동성 경색으로 인한 리스크)
- 기술주 중심으로 (특히 반도체 중심으로) 많이 상승함
- 중국이 미국에 관세를 올렸음에도 불구하고 (관세 발언이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장이 하락하지 않음 → 내성이 생긴 것일 수도?
- 백악관에서 중국이 딜하는 걸 원한다고 긍정적으로 보고 있음 → 매도 관점보다 매수 관점으로 들어가면 좋지 않을까?
주요 스케줄
외환 포털 Investing.com 한국어.
공포 탐욕 지수
참고자료
[NCC 비즈니스] 공포 탐욕 지수
[유튜브] [오선] 25년 4월 11일 미국증시 요약
[유튜브] [홍장원의 불앤베어] 연준이 물가만 보진 않는다. 증시 반등시킨 연준 콜린스 마법.
[유튜브] [올랜도킴] (시황분석) 하락에 맷집이 생겼다,이미 시장은 상승을 준비한다.
[CNA] Fed official says 'absolutely' ready to intervene in financial markets
E.o.D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