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저것 월드

잘하고 싶은 게 많은 욕심 많은 족제비 세상에 오신 걸 환영해요.

PM 및 서비스기획/국문버전 4

프로덕트 매니저 관점으로 보는 제품 개발 싸이클

인트로 이번 글의 주제는 제품을 만들기 까지의 과정을 다룬다. 프로덕트 매니저로서 서비스를 출시하는 과정을 몇 번 거치고 난 후 작성하게 된 주제다. 제품 개발에 있어서 정답은 없지만 다른 책에서도 많이 언급되는, 보편적인 방법을 작성했다고 생각해주시면 좋겠다. Hope you enjoy it! 아이디에이션 이 단계는 시장의 니즈와 기회를 파악하고, 제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단계다. 자연스럽게 동료들과 커피챗을 가지거나, 그냥 여러 대화에서 발화되는 아이디어에서 번뜩이는 경우도 잦다. 아이디에이션에 대해서 1차 검증을 한 번 진행해보면 좋은데, 개인적으로 아이디어에 대해 잠재 고객군을 몇 개 설정한 후 직접 만나서 인터뷰하는 방법을 추천한다. 그들의 진짜 필요를 알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나..

제품 출시와 Go-To Market 전략

인트로 성공적인 제품의 출시는 모든 비즈니스 전략의 중요한 구성 요소다. 제품을 만들어 놓고도 성공적인 시장진입을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시장진입 전략이 부족해서 그런 것이란 생각이 든다. *시장진입 전략 = Go-To Market Strategy = GTM(Product Manager를 위한 강의를 찾아보면 GTM이 대부분 껴있다.) 이번 글은 성공적인 제품 출시와 시장진입을 위한 기본 원칙, 액션을 작성한 글이다. Hope you enjoy it! 메인제품 출시와 Go-To Market 제품 출시 및 Go-To Market 전략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연구 및 분석: 어떤 시장의 어떤 고객을 타깃 할 것인지. 그리고 경쟁자는 누가 있는지와 같은 기본적인 시장 이해를 위한..

프로덕트 매니저가 사용할 수 있는 시장과 경쟁자 조사를 위한 방법들

인트로 새로운 제품을 시장에 런칭하기 전에 시장 조사와 경쟁자 조사를 실행하는 것은 프로덕트 매니저가 필수적으로 해야하는 업무다. 아이디에이션을 하게 되면 종종 같이 아이디에이션을 하던 사람들끼리 불이 붙어서 시장과 경쟁자 조사를 낼름 건너뛰고 일을 진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그 아이디어가 아무리 좋아도 런칭이 무산되는 경우가 있고, 그것을 어찌저찌 무시하고 제품을 런칭하더라도 그 시장의 크기가 작거나 뛰어난 경쟁자가 있다면 매몰되는 비용이 상당할 것이다. 여기서 소개하는 조사 방법들을 사용하면 소비자의 니즈, 시장에서 선호하는 것, 트렌드, 경쟁자들을 정의할 수 있다. 이 방법들을 이해하고 잘 사용한다면, 프로덕트 매니저라면 자신의 업무를 수행하면서 충분히 자신 제품의 시장 포지셔닝과 좋은 결..

프로덕트 매니저란?

인트로 안녕하세요, 서울의 IT 스타트업 씬에서 프로덕트 매니저로 2년차를 지내고 있는 로이라고 합니다. 기존에는 노션 아카이빙만 하고 있었는데, 올해 목표 중 하나로 블로그를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짝짝짝). 작성하는 글은 주로 노션에 아카이빙 해 놓은 여러 방법론과 공부한 것, 실무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글을 작성할 예정입니다. 사실 이 목표와 관련해서 개인 노션에서 올해의 토이 프로젝트로 잡아 놓은 것도 있는데 이거는 1분기 말에 글을 작성할 생각입니다. 첫 글의 주제는 프로덕트 매니저의 정의와 프로덕트 매니저를 더 낫게 만드는 생각으로 구성했습니다. 아래 프로덕트 매니저는 웹/모바일 서비스를 개발하는 분야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글에 대한 의견, 혹은 정리해주었으면 하는 주제가 있다면 편하게 피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