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저것 월드

잘하고 싶은 게 많은 욕심 많은 족제비 세상에 오신 걸 환영해요.

방법론 12

원 페이저와는 조금 다른 그것, 프로젝트 차터

인트로 며칠 전에 전직장 동료(프로덕트 매니저)와 얘기를 하다가 그가 프로젝트 차터를 작성하고 있다는 말을 들었다. 들어보기만 했지 현재 직장에서는 굳이 작성할 일이 없었어서 정확히는 모르고 있던 내용이기도 하고, 최근에 비슷하게 취급되는 원 페이저에 대한 글을 쓰기도 해서 내용을 찾아보았다. 확실히 원 페이저랑은 목적은 비슷하지만 용도가 달라서 이것도 알아두면 좋은 지식이겠다 싶었다. 그래서 이번 글은 프로젝트 차터에 대한 내용 Hope you enjoy it! 프로젝트 차터란? 프로젝트 차터는 프로젝트의 목적, 목표 및 이해관계자를 포함하여 프로젝트의 주요 요소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High-level의 문서다. 프로젝트의 로드맵 역할을 하며 프로젝트의 목표와 기대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제공한다. 프..

The Importance of a Project Charter: A Guide for Product Managers

Intro A few days ago, I was talking to my former co-worker (product manager) and he was told that he was writing a Project Charter. I only heard it, but I didn't know it exactly because I didn't have to write it at my current workplace, and I recently wrote about a similar things ‘One Pager’, so I looked up the Project Charter. Certainly, the purpose is similar to that of One Pager, but little d..

스포티파이 조직 모델

인트로 스포티파이 조직 관리 모델이 있다. 왜 스포티파이 모델이냐? 이유는 스포티파이가 만들었기 때문 ㅎㅎ. ‘프로덕트 매니저는 무슨 일을 하고 있을까’ 라는 책을 읽으면서 알게 된 방법론인데, 몇몇 스타트업에서 도입하고 있는 Guild 라는 제도가 여기 스포티파이 모델에 나오는 Guild와 유사한 것인가 궁금해서 이 모델을 찾아 정리해 보았다. 이 글은 스포티파이 모델에 대한 대략적인 내용과 현재의 평을 다룰 예정. Hope you enjoy it! 스포티파이 모델이란? 아틀란시안에서 말하는 스포티파이 모델은 문화와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애자일을 확장하기 위한 사용자 중심의 자율적인 접근 방식이다. 스포티파이 모델은 제품 개발을 위한 조직에서 여러 팀을 조직하는 한 가지 예시라고 할 수 있으며..

문서 작성은 PM의 무기, '원 페이저' 활용하기

인트로 제안서 등 문서를 작성할 때 ‘원 페이저’라는 말을 종종 들을 수 있다. 원 페이저의 요는 간단한데, 짧고 간결하게 핵심만 함축하여 한 장내로 끝내는 보고서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원 페이저는 기획서, 보고서 등으로 자주 활용되며 그런 만큼 주로 자신이 보는 목적보다는 이해관계자가 보는 목적으로 자주 쓰는 문서다. 그래서 원 페이저는 이해관계자들이 얼마나 빠르게 잘 이해할 수 있느냐로 그 퀄리티가 결정된다. 나도 처음에는 이해관계자들에게 “이게 무슨 의미에요?”, “이해가 안 돼요.” 하는 말들을 더러 들었다가 요즘에는 그런 말을 거의 못 듣는데, 아마 원 페이저 작성을 처음 시작했을 때 보다 작성 실력이 많이 늘었기 때문이 아닐까 ㅎㅎ(행복회로). 아무튼 알아두면 참 좋은 문서 작성 방법인 만..

목적? 목표?: 목적과 목표의 차이

인트로 나는 작년 상반기부터 습관을 들이고 있는 것이 있다. 바로 목적과 목표를 설정한 다음 행동하는 것이다. 이번 글은 내가 목적과 목표를 정하고 움직이기 위해 정리한 기초적인 내용들을 다루고 있다.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내가 하는 행위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행위이며, 내가 그 목적을 달성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또한 이들이 정해져 있으면, 내가 한 행위에 대해서 ‘실패’ 혹은 ‘성공’ 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가 성장하는 것을 시각화하여 볼 수 있다. Hope you enjoy it ! 목적? 목표? 목적과 목표의 정의 목적과 목표는 종종 혼용되어 사용되지만, 사실 이들은 뚜렷한 의미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목적은 개인이나 조직이 성취하고자 하는 ..

문제 해결 방법론 '로직트리(Logic Tree)': 단계별 접근 방식을 통한 문제 해결

인트로 이번 주제는 한참 사수님의 추천으로 맥킨지 책들을 읽을 때 알게된 의사결정을 위한 방법론, '로직트리'다. 'MECE'와 떼어낼래야 뗄 수 없는 관계지만.. MECE는 나중에 다시 기술하려고 한다. 우선 로직 트리는 정보를 구성 및 구조화하고 복잡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는 강력한 도구다. 종종 분기를 나누는 구조의 형태로 논리적 관계 체계를 나타내는 데 자주 사용되는 일종의 다이어그램이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로직트리의 기본 개념과 예시를 작성할 예정이다. Hope you enjoy it! 로직트리란? 로직트리는 위에서 언급한 것 처럼 분기가 갈리는 구조의 형태로 복잡한 논리적 관계 체계를 나타내고자 할 때 자주 사용되는 일종의 다이어그램이다. 로직트리는 보통 정보를 구성 및 구조화하고 다양..

로직트리

스스로가 로직트리에 대해서 학술적 견해를 내놓거나, 분석을 할 수 있는 수준이 아직까지는 아니라고 생각하고, 더 정리를 잘 해 놓은 블로그도 많기 때문에, 이 글은 내가 읽은 것을 간단하게 정리하고, 추후에 리마인드 할 수 있을 정도로만 작성하려고 한다. 로직트리Logic tree는 나뭇가지가 뻗어 나가는 것처럼 논리적으로 상세화(분류)를 하는 기법으로 맥킨지를 통해 유명해졌다. 나무(문제)를 심고 뿌리(원인)를 내리고 내리고 내리면서 결국 근원적 원인에 접근하는 방법으로, 방금 적은 말처럼 나무가 뿌리는 내리는 프레임워크로 사용되기 때문에 로직트리라고 불린다. 로직트리는 다양한 이점을 가지는데 대표적으로는 이 3가지. 누락이나 중복을 미연에 확인할 수 있다. 원인이나 해결책을 구체적으로 찾아낼 수 있다..

방법론 2021.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