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저것 월드

잘하고 싶은 게 많은 욕심 많은 족제비 세상에 오신 걸 환영해요.

재테크/증시 시황

[미증시 요약] 25년 3월 27일 목요일: GDP도 오르고, 실업수당청구건도 떨어졌지만, 여전히 관세 불안과 하락장

327로이 2025. 3. 28. 10:00
728x90
반응형

 

- 개요: 미증시 공부를 위한 데일리 증시 요약
- 목적: 어떤 이벤트가 증시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동향을 파악하는 것
- 연재 기간: 굳이 요약 글을 작성하지 않아도 이해하고 대응 전략을 뽑아낼 수 있을 때까지

목차

1. 지수 요약
2. S&P500 스크린
3. 요약
4. 이모저모
5. 주요 스케줄
6. 공포 탐욕 지수
7. 참고자료

 

지수 요약

[미국 증시]
S&P500 -0.33% → 5,693.31
다우 -0.37% → 42,299.70
나스닥100 -0.59% → 19,798.62
러셀2000 -0.39% → 2,065.70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4.021% → 3.996%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354% → 4.361%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104.492 → 104.214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3,023.2 → 3,069.1 ▲ (전일 같은시간대비)



S&P 500 스크린

ⓒFinviz


 

요약

  • 예상보다 양호한 경제 지표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25% 관세 발표 및 무역분쟁 우려로 하락 마감
  • 트럼프 대통령은 "4월 3일부터 수입차에 '영구적'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말함 + EU와 캐나다가 공동 대응할 경우 더욱 강력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 → 강대강 조치로 인한 불안감 상승
  • 자동차 관세 강행과 AI 투자의 실효성 등으로 인해 불확실성 증가
  • 반도체, 기술주 중심의 하락이 많았음 → 경기순환주는 하락하고, 경기방어주 중심으로 상승
  • 트럼프 대통령의 예측 불가능한 무역정책은 투자자들에게 상당한 불확실성을 야기하는 중
  • 현재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연준의 목표치를 상회하고 있음 → 오늘 발표될 개인소비지출(PCE)는 상호 관세 발표를 앞두고 물가 압력 및 경제 활동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
  • 미국 4분기 실질 GDP성장률 2.4% (예상: 2.3%, 이전: 2.3%)
  • 미국 4분기 근원 PCE가격지수 2.6% (예상: 2.7%, 이전: 2.7%)
  •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24K (예상: 225K, 이전: 223K→225K)

 

이모저모

  • 자동차 25% 관세가 시행되면 국내 조달 부품이 많은 테슬라(특히 모델 Y)가 수혜를 받을 것 → 다만, 관세로 인한 원자재 상승은 결국 차량 가격 상승을 통해 소비자에게도 전가될 것 (이미 페라리는 10%를 올렸다!)
  • 반도체 중심의 하락이 많았는데, 미국이 바이든 행정부의 "AI 확산 규칙"을 적용할 계획인 5/15까지는 변동성이 심할 것으로 예상하는 전망이 많음. 이 제한은 18개 허가 국가 목록 밖의 국가로의 정교한 AI 칩 운송을 제한하는 것 → 데이터 센터, 생성형 인공지능, 머신러닝과 같은 성장 부문을 봤을 때, 하락 매수 관점도 일리가 있는 듯 → 120불 미만에서 매수하면 좋을 것이란 말이 매력적 (좋은 것만 보인다, 아무래도 나는 낙관론자..)
  • 오늘 밤 혹은 다음 주 월요일에는 포트폴리오를 한번 정비해야 할 듯. 현재 SGOV에 묶어둔 달러가 많은데, 1/5 정도는 다른 종목을 매수할 생각 → 경기방어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리밸런싱한 SHCD와 배당주 중심으로 살지, 혹은 성장주를 매수할지 고민

 

주요 스케줄

 

공포 탐욕 지수

ⓒCNN

 

참고자료

[NCC 비즈니스] 공포탐욕지수

[유튜브] [오선]의 25년 3월 27일 미국증시 요약
[유튜브] [올랜드킴]의 (시황분석) 변동성은 언제까지?
[유튜브] [홍장원의 불앤베어] 연준이 침체데이터 원하지 않는 결정적 이유. 트럼프 자동차관세가 불러오는 인플레 파장

 

E.o.D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