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개요: 미증시 공부를 위한 데일리 증시 요약
- 목적: 어떤 이벤트가 증시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동향을 파악하는 것
- 연재 기간: 굳이 요약 글을 작성하지 않아도 이해하고 대응 전략을 뽑아낼 수 있을 때까지
목차
1. 지수 요약
2. S&P500 스크린
3. 요약
4. 이모저모
5. 주요 스케줄
6. 공포 탐욕 지수
7. 참고자료
지수 요약
[미국 증시]
S&P500 +0.58% → 5,560.83
다우 +0.75% → 40,527.62
나스닥100 +0.61% → 19,544.95
러셀2000 +0.56% → 1,976.52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3.689% → 3.656%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206% → 4.172%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98.862 → 99.179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3,354.80 → 3,327.60 ▼ (전일 같은시간대비)
S&P 500 스크린
요약
- 장중 등락을 거듭하다 결국 상승세로 마감
- 트럼프의 자동차 관세 완화 계획을 시장이 긍정적으로 해석한 걸로 보임 → 백악관은 어제(4/28) 트럼프는 외국산 완성차에 부과한 25% 관세 외에 철강·알루미늄 등 다른 품목에 대한 관세가 중복 부과되지 않도록 조정할 계획이라고 밝힘
- 베센트 재무장관은 화요일 백악관 브리핑에서 “미중 무역 협상의 책임은 중국에 있으며, …”라고 말함 → 여전히 시진핑 주석과의 통화 여부는 밝히지 않는 중
- 3월 미국 상품무역 적자는 관세 시행 전 재고 확보 영향으로 사상 최대치로 확대됨
- 정크 본드(고수익 채권)는 부채 부담이 큰 기업이 발행하기 때문에 경기 침체에 특히 위험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2025년에는 상승세를 보임 → 시장은 경기침체가 아직까지 온다고 반응하지 않음
- 미국 2월 주택가격지수 0.1% ▼ (예상: 0.3% 이전: 0.2%)
- 미국 3월 JOLTS 구인인원 7192K ▼ (예상: 7500K 이전: 7568K)
- 미국 4월 CB 소비자신뢰지수 86.0 ▼ (예상: 88.0 이전: 92.9)
- VIX 지수 24.17 −0.98 (3.90%)
- 탐욕 공포 지수 38 (전날 37)
이모저모
- 하드 데이터도 역성장을 말하고 있는 중인데 S&P500은 계속 오르는 중 → 경기침체에 대해 걱정하면서도 연준이 경기침체를 막기 위해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더해진 결과가 아닐까?
- 애틀랜타 연준의 GDP NOW 보고서가 발표됨 → 'GDP 나우' 모델이 2025년 1분기 미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8%로 하향 조정함
- 실질 개인소비지출(PCE) 증가율 전망치가 기존 1.3%에서 0.0%로 낮아진 것은 미국 경제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소비 심리가 크게 위축되었음을 의미(애틀랜타 연준은 경기침체에 베팅하는 중)
- 또한 -2.8%라는 전기 대비 연율 환산 성장률은 1분기에 미국 경제가 상당한 폭으로 위축되었을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함
주요 스케줄
외환 포털 Investing.com 한국어.
공포 탐욕 지수
참고자료
[NCC 비즈니스] 공포 탐욕 지수
[유튜브] [오선] 25년 4월 29일 미국증시 요약
[유튜브] [올랜도킴] (시황분석) 고수익채권이 침체인지 아닌지를 말해준다
[유튜브] [홍장원의 불앤베어] '족집게' 애틀랜타 연은, 결국 GDP 역성장에 베팅
[머니투데이] "트럼프, 자동차 관세 완화 예정…중복 적용 막고 부품 관세도 완화"
[연합인포맥스] 'GDP 나우', 1분기 더 깊은 마이너스 성장 전망…'-2.8%'로 1.3%P↓
E.o.D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