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트로
제안서 등 문서를 작성할 때 ‘원 페이저’라는 말을 종종 들을 수 있다. 원 페이저의 요는 간단한데, 짧고 간결하게 핵심만 함축하여 한 장내로 끝내는 보고서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원 페이저는 기획서, 보고서 등으로 자주 활용되며 그런 만큼 주로 자신이 보는 목적보다는 이해관계자가 보는 목적으로 자주 쓰는 문서다. 그래서 원 페이저는 이해관계자들이 얼마나 빠르게 잘 이해할 수 있느냐로 그 퀄리티가 결정된다.
나도 처음에는 이해관계자들에게 “이게 무슨 의미에요?”, “이해가 안 돼요.” 하는 말들을 더러 들었다가 요즘에는 그런 말을 거의 못 듣는데, 아마 원 페이저 작성을 처음 시작했을 때 보다 작성 실력이 많이 늘었기 때문이 아닐까 ㅎㅎ(행복회로). 아무튼 알아두면 참 좋은 문서 작성 방법인 만큼 글로 남긴다.
Hope you enjoy it!
원 페이저란?
원 페이저는 주제 또는 프로젝트에 대해서 빠르게 핵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간결하고 시각적인 문서다.
원페이저의 가장 큰 특징은 하나의 페이지에 주요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요약한다는 것인데, 이를 통해 PM/PO의 페이퍼 워크와 의사소통에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비슷한 예로는 아마존 CEO, 제프 베조스의 6 Page Narrative 문화를 예시로 들 수 있다.)
원 페이저는 보편적으로 비즈니스 프레젠테이션, 마케팅 캠페인, 프로젝트 제안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종종 차트, 다이어그램 및 이미지와 같은 텍스트 등 그래픽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단, 무분별한 차트 등 도식 사용을 통해 가독성을 해치지 않도록하자.
원 페이저를 작성할 때는 웬만하면 모든 내용을 한 페이지에 내에 작성하는 것을 추천한다. '원 페이저'라는 이름처럼 말이다. 그러기 위해선 복잡한 미사여구를 사용하기보단 간결하고 담백하게 전하고자 하는 의미를 함축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원 페이저 예시
실제로 내가 사용하는 원 페이저 형태를 샘플로 만들어 보았다.
하나는 사내/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작성하는 프로젝트용 원 페이저, 나머지 하나는 미팅 시 회고록을 정리할 때 사용하는 원 페이저다. ※ 미팅 회고록은 정리하면서 클로바노트까지 첨부하면 금상첨화.
그래서?
PM과 PO, 혹은 그 외 문서를 다루는 사람이라면 원 페이저를 한 번 사용해 보자. 잘 만든 원 페이저가 있다면 이를 통해 이해관계자들에게 더욱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빨리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 원 페이저를 습관화하는 것을 강추한다.
참고
https://brunch.co.kr/@mojuns/40
제품 개발의 시작, 1 Pager
1 Pager는 무엇일까? 1 Pager는 제품 및 프로덕트를 만드는 구성원이 제품 개발에 대한 목표를 파악하고, 이유를 공감하며, 무엇을 만들어야 할지 파악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문서를 말한다. 이렇게
brunch.co.kr
https://brunch.co.kr/@chadwick/20
기록은 어떻게 PM의 무기가 되는가
프로덕트 매니저의 자산은 기록이다 | '프로덕트 매니저에게 정말 중요한 역량은 무엇일까?'를 한참 고민하던 적이 있었다. 이것도 잘해야 할 것 같고, 저것도 잘해야 할 것 같고.. 그러다 보니
brunch.co.kr
'방법론 > 국문버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 페이저와는 조금 다른 그것, 프로젝트 차터 (0) | 2023.02.10 |
---|---|
스포티파이 조직 모델 (0) | 2023.02.08 |
목적? 목표?: 목적과 목표의 차이 (2) | 2023.01.24 |
문제 해결 방법론 '로직트리(Logic Tree)': 단계별 접근 방식을 통한 문제 해결 (0) | 2023.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