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트로
며칠 전에 전직장 동료(프로덕트 매니저)와 얘기를 하다가 그가 프로젝트 차터를 작성하고 있다는 말을 들었다. 들어보기만 했지 현재 직장에서는 굳이 작성할 일이 없었어서 정확히는 모르고 있던 내용이기도 하고, 최근에 비슷하게 취급되는 원 페이저에 대한 글을 쓰기도 해서 내용을 찾아보았다. 확실히 원 페이저랑은 목적은 비슷하지만 용도가 달라서 이것도 알아두면 좋은 지식이겠다 싶었다.
그래서 이번 글은 프로젝트 차터에 대한 내용
Hope you enjoy it!
프로젝트 차터란?
프로젝트 차터는 프로젝트의 목적, 목표 및 이해관계자를 포함하여 프로젝트의 주요 요소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High-level의 문서다. 프로젝트의 로드맵 역할을 하며 프로젝트의 목표와 기대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제공한다. 프로젝트 차터는 일반적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작성되며, 모든 이해관계자를 조정하고 모든 사람이 동일한 목표를 향해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 때문에 프로젝트 차터는 원 페이저에서 더 디테일한 로드맵을 제공한다.
프로젝트 차터의 7가지 핵심 구성요소들
잘 쓰여진 프로젝트 차터는 아래의 핵심 구성요소를 갖춰야한다.
- 프로젝트 목적: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목적과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 프로젝트의 목표 및 성과: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목표와 프로젝트 완료를 통해 달성할 수 있는 성과(산출물)을 개략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 프로젝트 범위: 프로젝트에 포함되는 조건, 제외되는 조건 등 프로젝트의 범위를 개략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 이해관계자: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팀원, 고객, 외부 파트너 등을 포함해 프로젝트의 주요 이해관계자가 명기되어 있어야 한다.
- 마일스톤(타임라인): 프로젝트의 시작/종료 날짜, 프로젝트의 진행 단계를 구분할 수 있는 마일스톤 등의 일정이 요약되어 있어야 한다.
- 예산, 소요 비용, 리소스: 예산 비용, 투입 리소스 등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드는 비용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 가설, 제약조건, 위험요소: 프로젝트 진행과 관련한 잠재적인 위험 요소 등 가설과 이의 대처방안을 개략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프로덕트 매니저에게 왜 프로젝트 차터가 필요할까?
프로덕트 매니저에겐 제품 기획에 앞서 제품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을 작성하여 이해관계자들과 논의하고 그들을 설득하는 과정이 종종 생기기 마련이다. 이 때 프로덕트 매니저들은 프로젝트 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잘 작성된 프로젝트 차터를 활용하면 프로젝트의 목표, 기대 성과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해관계자들의 의사소통과 협의를 더욱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프로젝트에 대한 로드맵을 조금 더 디테일하게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adutech&logNo=220389951406
4.1 프로젝트차터(Project Charter)란 무엇인가? #PMBOK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프로젝트 통합관리
4.1 프로젝트차터(Project Charter)란 무엇인가? #PMBOK #Project Management ...
blog.naver.com
'방법론 > 국문버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포티파이 조직 모델 (0) | 2023.02.08 |
---|---|
문서 작성은 PM의 무기, '원 페이저' 활용하기 (4) | 2023.02.03 |
목적? 목표?: 목적과 목표의 차이 (2) | 2023.01.24 |
문제 해결 방법론 '로직트리(Logic Tree)': 단계별 접근 방식을 통한 문제 해결 (0) | 2023.01.20 |